본문으로 바로가기

길고양이와 TNR

category 국회와 정치 9년 전




 

 

작년 10... 한국은 캣맘 사건으로 사회가 떠들썩 했습니다.



캣맘 사건 가해 초등학생 거짓진술의혹4학년 교육과정에 낙하실험 없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004&oid=417&aid=0000136527

 


초등학생이 낙하실험[??]을 하기위해 높은 아파트에서 던진 벽돌이

주변에 집 잃은 고양이를 돌봐주던 캣맘이 맞아 사망에 이르게 된 사건입니다.

가해자가 된 초등학생은 촉법소년법에 따라 나이가 어린 이유로 

직접적인 처벌을 받지 않아 국민들의 더욱더 분노했습니다.

 


길고양이 노린 독극물 살포 잇따라

http://www.etoday.co.kr/issue/newsview.php?idxno=1278880


 

이 사건을 계기로 길고양이를 적극적으로 돌보는 편과 싫어하는 편과의 갈등이 

수면위로 올라오면서 그 갈등은 인터넷에서부터 오프라인까지 번지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길 고양이가 지나다니는 거리에 독극물을 버무린 사료를 살포하는 등 

동물에 대한 잔혹 범죄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를 인식한 국회도 길 고양이에 대한 관련 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었지만 아직도 소관위에 계류중입니다한번 확인해볼까요?

 



 

의안명

 


<동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1918032)>



주요내용



현행법에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유실, 유기동물을 구조하여 보호 및 

보호조치 대상 동물의 포획, 판매 관련 행위를 처벌하고 있지만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길고양이같은 경우 보호조치에 해당이 되지 않아 

이 부분을 수정하여 길 고양이도 보호조치 대상에 포함하도록 조치하며

개체수 조절을 위해 중성화하여 방사하도록 조치한다는게 

이 개정안의 핵심내용입니다.

 

 

더불어민주당 (경기 부천시소사구) 김상희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한 개정안입니다.

 

 

 


<중성화 수술 TNR???>

 






 

중성화 수술 (TNR) 이란 아직까지도 논란이 많은 정책중 하나입니다.

찬성하는 쪽에서는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으로 

개체수를 조절 및 유지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덜 일으킨다는 입장이고 

반대하는 쪽에서는 중성화 수술 (TNR) 은 단순한 이론적인 정책이며 

실제 수술 이후의 효과가 미비하고 

선진국에서도 포기한 사업이기에 예산낭비라는 입장입니다.


중립적이고 과학적인 정리가 안되어있기에 입장에 따라 

TNR 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계속 엇갈리고 있습니다.

 

 



<길 고양이에 대한 해외는?>

 


 

 

각 나라들도 TNR 효과가 증명되지 않았기에 

길 고양이에 대한 정책이 각 나라마다 다릅니다.


호주는 TNR 정책을 보류하고 5년간 길 고양이를 살처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방법도 독살, 총살 등을 사용하기 하여 상당히 급진적입니다.


일본과 대만은 고양이를 좋아하는 시민단체와 지자체가 함께 길 고양이를 중성화 시키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는 TNR 을 시행하지 않는 국가입니다.

 

 


 

<길 고양이에 대한 국내는?>

 

 




 

 

"서울시, 길고양이 내년까지 70% 중성화 실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15&oid=055&aid=0000350612


광주 서구, 길고양이 급식소 주변 중성화사업 실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277&aid=0003633323

 

 

우리나라 지자체에서도 길고양이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자 

본격적으로 중성화 사업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재정이 여유가 있는 서울시는 본격적으로 시내 전체에 도입할 예정이며

길 고양이의 70% 정도를 중성화 수술 (TNR) 목표치로 정했습니다.

 



'TNR 시술' 길고양이 대부분 숨졌다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659671



하지만 성급한 중성화 수술 (TNR) 은 부작용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저는 중성화 수술 TNR 의 효과가 명확히 입증되어 있지 않기에 

무작정 TNR 을 시행하는건 반대입니다

길 고양이에 대한 중성화 수술 (TNR) 의도는 좋은 뜻이라는걸 알고 있지만 

국가의 재원이 사용되는 점에서 무작정 시행한다는 점을 반대하는겁니다.


또 미국에서는 TNR 에 대한 사회 부작용에 대한 비판도 일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저는 길 고양이에 대한 TNR 정책을 정부가 면밀히 조사한 후 

지방자치단체 차원이 아닌 중앙정부의 주도하에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이번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국민의 목소리를 전하시길 바랍니다.

 


<더불어민주당 (경기 부천시소사구) 김상희 국회의원 홈페이지>

www.cleankim.kr


 

국민이 국회를 알아야

국회가 국민을 위해 일을 합니다.

 


국회와 정치카테고리의 다른글

양도소득세와 한센인??  (2) 2016.02.12
병역기피자와 재외동포  (0) 2016.02.12
담뱃값 인상과 불법담배  (0) 2016.02.10
임산부 전용주차장??  (0) 2016.02.08
고액체납자와 정치후원  (0) 2016.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