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와 사회 - 귀금속을 이용한 재테크??

category 뉴스와 사회 2017. 1. 3. 12:18



방금전

'뉴스와 사회 - 금값이 바닥인 이유' 에서 언급한 것처럼

귀금속은 안전자산이기에 전 세계가 경제 불황을 겪는 지금

사실 그만한 대우를 받아야 하지만....


귀금속 가격이 오른다는 의미는

세계 통화의 기준인 (기축통화) 달러의 신뢰도가 낮아진다는 뜻이기에

미국 정부로서는 달러를 살리기 위해선 반드시 귀금속 가격을 낮춰야 한다는 뜻인 겁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는 반강제적, 공매도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지금도 귀금속 가격을 낮추고 있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저는 미국 달러가 살아있는 한...

귀금속 가격은 오르기 힘들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런 안전자산인 귀금속을 이용하여

나름대로 재테크를 하는 사람들이 간혹 존재합니다.


불안한 갭을 이용하여 돈을 벌겠다는 거죠..

또는 아예 안전자산의 의미를 모르거나요..



문제는...

대다수가 그 과정에서

자신의 돈을 잃고 있다는 거죠...





100g 미니 골드바로 '金테크' 문턱 낮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1&aid=0002931725


직장인 김지연(34)씨는 지난해 가격이 비싼 금의 대안으로 실버바에 투자했다 소액의 손실을 봤다. 은 시세는 지난 1년간 0.4% 상승했지만 수수료 등을 제하고 나니 오히려 매도 금액이 하락해 낭패를 본 것이다. 같은 기간 금 시세는 약 11% 정도 상승했다. 김씨는 “골드바 투자가 수익률이 클 것을 예상했지만 기본 가격이 비싸 수수료나 세금 등을 감안하면 투자에 뛰어드는 게 어려웠다”며 “개미 투자자들은 일반상품에 투자하는 게 어려워 코스닥 소형 종목에 투자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내년부터 김씨처럼 평범한 직장인들이 주식의 대안으로 ‘금테크’를 원할 경우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를 시작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한국거래소는 내년 4월 초 금 현물 시장에 기존의 10분의1 단위인 100g 골드바를 인출할 수 있는 ‘미니금’ 종목을 상장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거래소에 따르면 현물 금을 거래하는 KRX 금시장은 시장 활성화 방안으로 100g 단위 인출이 가능한 ‘미니금’을 선보인다. 국내 금 시세가 그램(g)당 4만3,000원일 경우 투자자는 최소 4,300만원가량이 있어야 현물 금을 매수할 수 있었지만 미니금이 상장되면 430만원으로도 금 매수가 가능하다. 김영 한국거래소 일반상품시장부 부장은 “면세혜택, 유동성공급자(LP) 제도, 당일 결제 등 기존 KRX 금시장의 제도가 미니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며 “기존 직사각형 모양의 골드바 외관에서 벗어나 지갑에 소지할 수 있는 크기의 카드형 등 투자자 선택권도 넓힌다”고 말했다. 이번 미니금 상장으로 기존 1㎏ 단위 금 종목 명칭은 ‘표준금’으로 바뀐다. 


일반 투자자는 주로 금은방과 같은 장외시장에서 금·은 매매를 하는데 이때 매매가에 마진이나 수수료가 포함돼 시세가 올라도 실제보다 손실을 입는 경우가 많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배당소득세·부가가치세 등이 없고 수수료가 낮은 KRX 금시장을 운영해왔지만 기본 인출 단위가 1㎏이어서 개인 투자자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올해 금 거래량이 하루 평균 16.6㎏으로 전년 동기보다 86%나 늘었지만 상당수 개인투자자들이 금 투자에 쉽게 뛰어들지 못한 까닭이다. 


‘미니금’은 이 같은 투자자들의 수요를 반영해 도입됐다. 거래소 측은 “12월 들어 금 평균 거래량이 30㎏에 이를 정도로 매매가 활성화됐으며 그중 절반은 개인투자자 수요”라며 “대학생·직장인들도 쉽게 금 투자에 뛰어들어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기사 생략 >>>>



========================



발췌한 기사를 보면...

언급되는 직장인 김 씨는 정말 잘못된 판단으로 

귀금속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그녀는 귀금속이 안전자산인지

가장 기본적인 이유조차 모르고 투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귀금속은 안전자산입니다.

그럼 안전자산 가격이 오른다는 건

도대체 어떤 의미이겠습니까???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폐들이 불안하다는 의미인 거죠.

불안한 만큼 귀금속 가격이 오르게 되는 거고요..


화폐가 불안하다는 이야기는

당연히 실물경제가 만신창이가 되어가고 있다는 걸로 해석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론적으로 이런 이유들로 인해 

귀금속이 오른다는 건 결코 좋은 의미가 아니라는 겁니다.



귀금속을 투자하는 사람들이 투자 개념보다 

보험 개념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또 보험 개념으로 접근했기에 무형의 자산인 증권이나 채권이 아닌

현물 (골드바, 실버바) 를 보유하는 이유도 이 때문인 겁니다.


뭐든지 다 이유가 있는 거죠..



다시 이야기를 되돌아와서

실물 귀금속 보유는 보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는 게 정상적인 생각인데..

이런 기초적인 개념도 없는 상태에서 투자 개념으로 접근하려 하니..


그녀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겠습니까???



불가능한 거죠...




경제적인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들

꺼려하는 게 귀금속을 이용한 투자 개념입니다.

그런데 전문 지식도 없는 일반 사람들이

금 시세가 하락한 것을 보고 시세차익을 위해 단순하게 투자한다??


그것도 실물로????



허허허....

이런 이유로....

귀금속을 투자한 대부분 사람들이

돈을 벌지 못하는 겁니다.





유익하셨으면 공감 (하트)

한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