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올해 초 


국내에 발생된

살충제 계란 파동이 일어난 지

벌써 꽤 많은 시간이 흘러갔습니다.


값싸게 접했던 계란값이 미친듯이 올라버리니

자영업자나 취급하는 기업이나 소비자 모두 불만을 토로했죠.



당연히...

식약처를 비롯한 정부는 민심 악화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빠르게 사태를 수습하려 합니다.


단기적인 대책으로는 해외에서 직수입 물량을 확보해왔고

장기적인 대책으로는 살충제 계란의 근본적인 원인인 케이지식 사육을

점차 친환경적인 방사형 사육으로 변경을 유도한다는 정책이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대책인....

계란 껍데기에 산란일자와 사육환경 표시를 

정리하여 기록하는 '난각코드' 를 선진국 수준으로...


올해 10월부터 의무화하겠다는 입장이었습니다.




과연....

어떻게 흘러갔을까요????







길잃은 ‘계란 난각표기’… 슬그머니 1년 늦출듯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ec&sid1=101&oid=020&aid=0003105984


‘살충제 잔류 계란’ 파동 이후 정부가 계란 껍데기에 새기는 ‘난각코드’에 산란일자와 사육환경 표시를 10월부터 의무화하겠다고 밝혔으나 농가 반발에 부딪혀 시행 시기를 1년가량 미루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를 위한 가장 중요한 대책인 ‘난각코드 개선안’이 정부의 현장에 대한 무지와 준비 부족으로 장기간 표류하게 된 것이다.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농가의 준비 기간을 고려해 시행을 유예하기로 했다. 구체적 시행 시기는 농림축산식품부, 국무조정실과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 안팎에선 1년 유예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처는 살충제 잔류 계란 파동이 난 9월 난각코드에 산란일과 사육환경까지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위반 시 처벌하는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등을 입법예고했다. 현 난각코드에 담긴 정보로는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계란 껍데기에는 생산 지역과 생산자명만 표시하면 된다. 하지만 규정을 위반해도 처벌받지 않다 보니 농장별로 표시 방법이 제각각이다. 실제 살충제 잔류 계란 사태 당시 △난각코드가 없거나 △한 농장에서 2개의 난각코드를 사용하거나 △다른 농가에서 똑같은 난각코드를 쓴 사례가 나와 소비자들의 혼란을 부추겼다.


이에 식약처는 모든 계란 껍데기에 △산란일 △생산자 고유번호 △사육환경번호까지 총 10자리의 난각코드를 표시하고 위반 시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기로 했다. 


하지만 산란계 농가들은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계란은 전량 냉장 유통되는 우유와 달리 10∼20%만 냉장 유통된다. 나머지 80∼90% 계란은 실온에서 유통된다. 산란일이 빠르더라도 냉장 유통된 계란은 산란일은 늦지만 실온 유통된 것보다 신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산란일만 표시하면 소비자에게 그릇된 신선도 정보를 줄 수 있다.



<<<< 기사 생략 >>>>









흠......

역시나일까요?????


국민들이 잊어주니 자연스레....









유익하셨으면 공감 (하트)

한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