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와 사회 - 다시 보는 2016년 리뷰 1부

category 뉴스와 사회 2017. 1. 1. 16:34



연말 마지막까지..

사람들을 만나고 미팅을 하다 보니

블로그에 소홀했네요...







어제는 국회와 입법 관련된

다시 보는 2016년 리뷰였으면

이제는 뉴스와 사회 차례입니다.


뉴스와 사회는 양이 상당하다 보니 

중요한 부분을 1, 2부 나눠서 작성했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01.17


불황이 만든 전역연기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17


재작년 북한이 저지른 목함 지뢰 사건에

최전방에 있었던 장병들은 전역을 연기한 사건이 있었는데

정부와 기업들은 이걸 선전에 이용하며 대우를 해줬습니다.


당연히 이걸 본 장병들은 

다시 발생한 북한의 핵실험 도때에

'학습효과' 로 전역을 연기한 장병드리 무려 1천 명이었는데 국방부와 정부는 불허했고 

이번 사례처럼 지속적인 경제 불황이 청년들의 생각을 변화시켰다고 저는 설명했었죠.



02.29


뉴스와 사회 - 공급과잉의 시대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84


대량 생산 시스템이 가능해진 현대에 공급과잉은

지속적인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들마저 유보금을 쌓아놓고 있어도 

재고나 사업 실패를 염려로 제대로 된 투자를 못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했었습니다.



05.03


뉴스와 사회 - 한국은행의 태도 변화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196


월초부터 무너지는 해운, 조선업계를 살리기 위해

정치권 일각에서 주장한 한국은행 역활론을 주장했는데

한국은행은 이런 내용에 거부 의사를 밝혔다가....

며칠 만에 기존 입장에서 선회했다는 내용을 설명했었습니다.


너무나 많은 돈들이 들어갈 예정이기에

한국은행에서는 최소한의 명분이라도 쌓아야 했다는 거죠.



05.16


뉴스와 사회 - 롯데월드타워 안전성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223


시민들이 불안해하는 롯데월드타워는

사실 상당히 안전하게 건설되었다는 내용을 설명했었습니다.


초고층 건물 설계 기술이 애초에 없는 롯데건설은 

단순한 하청 및 건설을 주도했을 뿐..

롯데월드타워의 안전과 설계를 담당했던 건.. 

세계 굴지의 회사들이었다는 점이죠.


그렇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겁니다.


만약 롯데월드타워에 문제가 발생되면

설계한 외국 기업들이 타격을 받기 때문이죠.






06.13


뉴스와 사회 - 초강대국의 조건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299


중국이 자국 경제의 규모와 군사력을 믿고

점점 주변국들과 세계에 자신들을 어필하고 있지만

미국처럼 초강대국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기에


아직도 진정한 패권국가가 되기에는 멀었다는 내용을 설명했었습니다.



06.08


뉴스와 사회 - 스위스 국민투표의 의미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286


많은 사람들이 주목했던

스위스의 월 300만 원을 제공하는 국민투표에

스위스 국민들이 부결한 이유로..


높은 국민소득과 낮은 실업률

그리고 언제든지 일을 할 수 있는 안정적인 사회제도가 있기에

그들은 국민투표에 거부 표를 행사했다는 내용을 설명했었습니다.



06.16


뉴스와 사회 - 브렉시트의 의미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308


영국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유럽연합을 탈퇴하려는 이유와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설명했었습니다.


결국 영국 캐머런 총리의 정치적인 도박이

세계사에 한 획을 긋는 선택이 되어버렸죠.



06.18


뉴스와 사회 - 미술업계가 반발하는 이유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313


미술계가 조영남 씨를 고소하는 이유로

자신의 브랜드를 통해 미술계에 OEM 을 주며

미술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내용을 쉽게 풀어서 설명했었습니다.


브랜드를 갖고 있으면 돈을 번다는 내용이었죠.






07.04


뉴스와 사회 - 빚을 권하는 사회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351


우리나라 사회 시스템이

이제는 빚 (부채) 를 권해야만

돌아가는 경제 시스템으로 전락된 이유를 설명했었습니다.


빚이 없으면 망하는 나라가 된 거죠..



07.18


뉴스와 사회 - 일본 본원통화 400조엔의 의미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372


일본이 본원통화를 아무리 확장하고 밀어 넣어도

경제 회복에 중요한 구심점인 소비층이 살아나지 않으면

아무리 유동성을 공급해도 답이 없다는 이유를 설명했었습니다.



07.29


뉴스와 사회 - 미연준은 양치기 소년??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394


미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안 되다는 걸 알면서도

지금까지 미친 듯이 풀어놓은 저금리와 양적완화

그리고 시장의 신뢰를 위해선 어쩔 수 없이 올릴 수밖에 없다는 이유를 설명했었습니다.


금리를 장기간 내렸으니..

언젠가는 그 장기간 내린 만큼 올려야죠..



08.23


뉴스와 사회 - 4전 5기만에 성공??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452


우리은행이 민영화 작업을

6년간 무려 4번이나 실패한 만큼

시장에서는 인기 없는 매물로 전락되었기에..


이번 정부 내에서는 반드시 성공시키겠다는 의지로

보유지분 쪼개팔기로 알 수 있고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천천히 설명했었습니다.


인기가 없으니

판매자가 손해를 봐야 하는 거죠.





우와... 

정말 숨 가쁜..

2016년인 거 같지 않습니까???



이제 뉴스와 사회

다시 보는 2016년 리뷰 2부로 넘어가겠습니다.





유익하셨으면 공감 (하트)

한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