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에 이어서
뉴스와 사회 - 다시 보는 2016년 리뷰 2부 시작하겠습니다.
09.09
뉴스와 사회 -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 11편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494
눈치 없이 올해 초 한진해운에 남아있는
자신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 매매 정지되기 전 미리 정리한 대가가..
자존심을 버려가며 국회에서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려야 했던 이유를 설명했었죠.
09.15
뉴스와 사회 - 쥬씨가 저렴한 이유...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503
언론매체에서는 쥬씨가 저렴한 과일과 과당을 사용한다는 걸
보도했었지만 이런 보도에도 많은 사람들이 사 먹는 이유를 설명했었습니다.
저렴한 가격이 모든 걸 용서하고 있기에
소비자들을 알면서도 사 먹는 겁니다.
09.22
뉴스와 사회 - 일본은행의 추가 통화 완화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516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로 은행권들이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일본 국채를 구매하지 않고 있는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일본 재무성이 발행하는 국채를
일본은행만 매입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되기에...
시장 신뢰를 위해 일본은행이 조치에 나섰다는 걸 설명했었습니다.
10.03
뉴스와 사회 - 도이치뱅크와 파생상품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537
파생상품이 가득한 도이치방크가 미국 법무부에
주택담보대출 유동화증권 (MBS) 불완전 판매 책임으로 벌금을
15조 5000억 원을 부과 받았는데 왜 이것이
세계경제가 위기에 빠트리게 된 건지 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도이치뱅크가 얼마나 위험한 상황인지
또 이 회사가 망하면 안 되는 이유도 말이지요.
10.04
뉴스와 사회 - 유커들의 한국여행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539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중 반 이상이 중국 관광객인데
그들이 어떻게 한국에 왔고 어떤 관광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문제가 발생될 것인지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중국에 의존한 만큼..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예측도 말이지요.
10.19
뉴스와 사회 - 맥킨지 보고서와 현실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572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는 맥킨지는
대놓고 우리나라의 조선업계에 현실을 이야기 언급합니다.
돈먹는 하마인 대우조선해양을 정리해야 한다는 이유도...
하지만 정부는 자신이 의뢰한 맥킨지 보고서를 무시하고
대마불사와 같은 대우조선해양을 끌고 가는 선택을 했죠..
10.30
뉴스와 사회 - 산은의 대우건설 매각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594
산업은행이 대우건설을 급하게 내놓는 이유로..
돈 먹는 하마 (대우조선해양) 을 산업은행이 책임져야 한다고 설명했었죠.
11.07
뉴스와 사회 - 관리가 가능한 가계부채?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05
정부와 한은이 현재 우리나라 가계부채에 대해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매번 언급하고 있는데
왜 이렇게 앵무새처럼 대답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가계부채를 해결하는데
어떤 해답이 있는지 말씀드렸습니다.
11.09
뉴스와 사회 - 들통난 청년희망재단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14
대통령이 의욕적으로 추진한 청년희망재단은
1년이 지나면서 성과가 나타나야 했지만..
예측한 대로 아무것도 없었다는 걸 설명했었습니다.
청년들을 돕는다는 명분을 사용한
오직 기업들 삥 뜯기 정책이었던 거죠.
11.17
뉴스와 사회 - 언제나 발빠른 일본의 행보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25
미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일본 정부는
예상외로 아웃사이더인 트럼프가 당선되자 자국의 이익을 위해
아베 총리가 직접 뉴욕까지 찾아간 이유를 설명했었죠.
미국의 지지가 없다면
현재 통화정책은 물거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11.20
뉴스와 사회 - 점점 강력해지는 중국의 추격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33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만들었던 제품들을
소비해줬던 중국이 점점 자신만의 힘을 키우며 자국산을 만들게 되자
수출시장을 잃어버린 우리나라의 미래가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걸 설명했었습니다.
11.21
뉴스와 사회 - 기준금리와 따로 노는 시중금리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36
한은이 지정한 기준금리와
실제 시장에서 움직이는 시중금리가 달라지는 이유
그리고 그 원인을 간단하게 설명했었습니다.
11.28
뉴스와 사회 - 시중금리를 진정시키는 정부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49
그리고 괴리감이 생기고 있는
시중금리와 기준금리를 진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11.29
뉴스와 사회 - 욕먹어가며 은행이 돈 버는 이유는???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53
반대로 언론매체와 정부가 압박을 넣어도
시중금리를 높이고 있는 은행들이
왜 이렇게 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물론 이런 이유로는
은행들도 살아남기 위해서였죠...
12.09
뉴스와 사회 - 머스크와 현대상선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82
현대상선이 머스크와 MSC 가 주도하는 2M 에
가입 협상을 하게 되었는데 정치적, 경제적으로 발목이 잡혀있기에
가입 협상에 불리한 점들이 많다는 걸 설명했었습니다.
12.09
뉴스와 사회 - 달라진 메르켈 총리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683
정치적 이유로 난민에 적극적이었던
메르켈 총리가 자신의 입장을 선회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12.15
뉴스와 사회 - 점점 다가오는 선택의 시기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703
예고대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은행도 덩달아 금리를 올려야 할지..
아니면 내수경제를 위해 내려야 할지...
점점 선택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는 걸 설명했었습니다.
12.20
뉴스와 사회 - 대부업 금리를 낮추면??
http://neutralpolitics.tistory.com/720
대부업이 정치적인 논리로 인해
최고금리가 낮춰진 상태인데...
이렇게 되면 발생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부분을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국회와 입법보다..
확실히 숨가쁘게 달려왔네요.
다시 보는 2016년 리뷰 2부는 이걸로 마무리입니다.
올해는 더 좋은 소식으로
그리고 더 좋은 내용을 게시하겠습니다.
유익하셨으면 공감 (하트)
한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뉴스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와 사회 - 차이나머니의 무서움 (0) | 2017.01.02 |
---|---|
뉴스와 사회 - 안전은 항상 돈을 요구한다. 2부 (0) | 2017.01.02 |
뉴스와 사회 - 다시 보는 2016년 리뷰 1부 (0) | 2017.01.01 |
뉴스와 사회 - 유럽연합.. BMPS 구제금융 승인 (0) | 2016.12.30 |
뉴스와 사회 - 한은의 내년 통화정책은 '완화' (0) | 2016.12.30 |